• GET은 주소줄에 값이 ?뒤에 쌍으로 이어붙고 POST는 request정보의 body안에 값으로 보내진다.

  • GET은 URL에 이어붙기 때문에 길이제한이 있어서 많은양의 데이터는 보내기 어렵고 POST는 많은 양의 보내기에도 적합하다.(역시 용량제한은 있지만)

  • http://www.xxx.com/list.html?id=5&pagenum=2 같이 하는 것이 GET방식이고 form을 이용해서 submit을 하는 형태가 POST입니다.

GET은 가져오는 것이고 POST는 수행하는 것입니다.

GET은 Select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GET은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준다거나 하는 용도이지 서버의 값이나 상태등을 바꾸지 않습니다. 게시판의 리스트라던지 글보기 기능 같은 것이 이에 해당

POST는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글쓰기를 하면 글의 내용이 디비에 저장이 되고 수정을 하면 디비값이 수정이 되죠. 이럴 경우에 POST를 사용


'개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CentOS7) 파일 용량 이슈  (0) 2020.09.25
CentOS7 node/react 설치  (0) 2020.06.09
OWASP Top 10  (0) 2018.04.15
디자인 패턴  (0) 2018.04.15
Restful API  (0) 2018.03.18

+ Recent posts